우리도 모르게 사용하는 역사 속 단어 #압권 '그 영화에서 그 장면 완전 압권이었어!' 많은 사람들이 놀랍거나 예상보다 뛰어난 장면을 보면 이렇게 표현 한다. 과연 이 압권 이란 단어는 어디서 나온 말일까? 압권 壓 (누를 압) 券 (문서, 책 권) 글자 그대로 '책을 누르다' 라는 뜻을 가진 압권은 조선시대 과거제도 에서 유래 된 말이다. 과거에 응시한 수많은 선비 들이 시험을 보고 제출한 답안지 중 감독관 들은 가장 뛰어난 답안지 를 합격자 들의 답안지 묶음 위에서도 가장 위에 올려놓았다고 하는데 이때 임금 이 답안지를 보고 그 뛰어남을 인정하면 그 답안지의 주인공은 장원급제 가 되었다. 또한 장원급제 답안지가 나머지 답안지를 위에서 누르고 있는 모양을 취하고 있고 이는 곧, 합격 답안지 중에서도 가..
우리도 모르게 사용하고있는 역사 속 단어 #시치미떼다 현대를 살아가면서 새로운 #신조어 들이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고, 신조어를 모르면 은연 중에 #따돌림 을 받기도 한다. 처음엔 신조어에 대해 안좋게 생각했다. " #세종대왕 님께서 이렇게 사용하라고 만들어주신 #한글 이 아닌데..."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. 하지만 이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게 언어도 변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편했다. 어느 덧 나조차도 #줄임말 이나 신조어를 사용하고 있었다. 2년전이긴 하지만 어느 #언론 매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조어에 대한 조사를 했다. #소확행 , #TMI 등 많은 신조어들이 생겨났고, 많이 사용되고 있다. 심지어 대부분 내가 사용하고 있는 말들이다. 이런 신조어들 가운데서도 꿋꿋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단어..